• 최종편집 2025-05-04(일)
  • 전체메뉴보기
 

제목을 입력해주세요_-001 (2).png

 

최만순의 약선요리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의 전 인생이 달려있다고 한다. 소만절기 시절이다. 소만시절 부터 한 낮은 본격적인 여름 기분이 나기 시작한다.


 각종 식물들은 고속성장을 시작한다. 농촌에서는 모내기에 바빠지는 시절이다. 이제부터는 이른 모내기·가을보리 먼저 배기 작업들과 여러 가지 밭농사의 김매기들이 줄을 있게 된다. 


그야말로 농번기가 시작되는 바쁜 철이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서 ″4월이라 맹하 소만절기로다. 떡갈잎 펴질 때에 뻐꾹새 자로 울고 보리 이삭 패어 나니 꾀꼬리 소리 난다.″고 했다. 옛날에 이때쯤이면 보릿고개란 말이 있었는데 집집마다 양식이 떨어져서 가난하고 힘겹게 연명하던 시절이 있었다.


 이때 우리나라의 전역에서 나는 도토리나무는 꽃을 피운다. 도토리는 ″풍년이 되는가? 흉년이 되는가? 하고 내려다보면서 열매를 맺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토토리가 풍년이면 흉년이 든다는 말도 있다. 그러므로 도토리는 구황작물이다. 


우리나라에선 주로 묵으로 많이 먹는다. 도토리는 기원전 600년 전부터 먹기 시작했다고 한다. 또 나무에서 나는 땅콩이라고도 한다. 이런 도토리가 현대에 와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도토리로 만든 음식은 첫째 소화가 잘 된다. 그리고 설사를 그치게 하고 뼈를 튼튼하게 하며 다이어트에도 좋다. 


지혈 작용이 있으며 몸 안에 쌓이는 중금속을 제거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도토리는 탄닌 성분이 많기 때문에 너무 많이 먹으면 변비가 생길 수 있으며 빈혈에도 좋지 않다. 신선한 도토리 열매에는 대략 단백질 3%, 탄수화물 40%, 유지 5.5%, 탄닌 10~20%가 있다. 토종꿀에 담가 먹으면 명약이 된다고 한다. 


식용할 때에는 맷돌에 갈아서 겉물 갈기를 반복하여 탄닌을 완전히 빼서 먹어야 한다. ′동의보감′에 성질은 따뜻하고 쓰고 떫으며 독이 없고 설사와 이질을 낫게 하고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여 청소년들의 성장발육에 좋다고 한다. 


■관절건강에 좋은 묵밥

▲효능-고혈압과 당뇨병, 허리가 시큰거리고 아픈 것, 무릎이나 관절에 습기가 차서 아프고 쓰린 것, 뼈마디가 힘이 없는 것, 생리가 너무 많이 나오거나 적은 것 등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재료-도토리묵 1모, 율무밥100g, 소고기전50g, 묵은 김치, 김가루3g, 멸치육수, 참기름

▲만드는 법

1.소고기는 쌀가루를 무쳐 팬에 부쳐 준비한다. 

2.묵은 김치는 참기름을 넣어 무쳐 준비한다.

3.멸치육수는 차게 식혀 준비한다.

4.그릇에 묵과 김치, 소고기전, 김가루, 육수를 붓고 깨를 뿌려 완성한다.  


▲조리Tip

도토리는 미세먼지인 중금속 해독에도 좋다. 

BEST 뉴스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최만순의 약선요리,"관절건강에 좋은 묵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